다이어리/다이어리

소셜커머스에 대한 생각

Peter.B 2010. 11. 6. 10:25
  최근 소셜커머스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이제는 대기업 조차도 뛰어들어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한국의 소셜커머스 비즈니스모델은 미국의 '그루폰'을 벤치마크하여 시작되었다.소셜커머스 서비스가 한국에서 시작되기 전부터 언론을 통해 '그루폰'이라는 회사에 대한 기사를 보며 관심을 갖고 있던터라, 한국에 소셜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생겼을 때부터 관심을 갖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까지 약 6개월여간 몇 몇 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낀점을 바탕으로 소셜커머스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나는 올해 5월경 오픈한 티O을 시작으로 쿠O, 데일OO, 티OO등의 업체의 서비스를 직접 구매하여 이용해보았다. 그리고 전부터 관심을 갖고 있던 비즈니스모델이어서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제휴업체를 방문할 때마다 사장님들께 소셜커머스 서비스에 대해서 물어보곤 한다.

 처음 티O이라는 업체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드디어 올것이 왔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이미 그루폰의 사례나 비즈니스모델에 대해서 알고 있던터라서 새롭다는 생각보다는, 한국적인 비즈니스모델을 어떻게 만들어갈지가 궁금했다.
  개인적으로 소셜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운영한다면 전략으로 내세우고 싶었던 서비스가 몇 가지 있다. 첫째, 다양한 지역의 서비스로의 빠른 확장, 둘째, 구매인원에 따른 할인율 변동제, 셋째, 구매한 티켓의 재거래 서비스 제공, 넷째, 후기게시판의 활성화를 통해 서비스 구매고객에 대한 빠른 CRM 등이다.

 시장이 확장되면서 초기 시장에 진입했던 업체들은 후발주자들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내가 위에 언급한 방향외에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확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새롭게 시장에 들어온 업체들의 경우 기존 업체들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 같다.
 다양한 업체들이 생기면서 고객들은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경쟁적인 서비스제공으로 인해서 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실제로 서비스 이용 후 불만이 제기되는 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소셜커머스의 비즈니스모델의 특성상 쿠폰을 먼저 구매하고 일정 기간 지난 동안 사용을 하는데, 매일 다른 쿠폰을 판매하다보니 쿠폰의 유효기간동안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쿠폰을 사용하는 고객과 일반고객을 차별하여 서비스를 하는 느낌을 주는 제휴업체에 대한 신고들도 심심찮게 보인다.

 무엇보다 가장 우려가 되는 부분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휴업체들에게 실제적인 이익이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현재 판매되는 대부분의 쿠폰은 약 50%의 할인을 하고 있다. 50%의 매출 중 일정부분은 소셜커머스 업체에 수수료로 주고나면 실제로 제휴업체에게 남는 것은 얼마되지 않는다. 내가 방문했던 제휴업체의 사장님께서는 수수료외에 세금까지도 본인이 내야한다며 별 생각없이 가게홍보를 위해서 제휴를 맺었으나 다시는 할 생각이 없다는 말씀을 하셨다. 현재는 소셜커머스의 유행 덕에 많은 제휴업체들이 제휴에 동참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이익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휴를 맺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결국 새로 가게를 오픈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휴를 맺기가 어렵게 되어 소셜커머스의 상품의 양이나 질적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소셜커머스는 매우 매력적인 비즈니스 모델임에 분명하지만, 위에 언급한 것외에도 많은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비즈니스모델이기도 하다. 그 동안 유행을 통해서 단기간 시장을 만들어냈던 서비스들은 매우 많다. 소셜커머스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소셜커머스업체, 제휴업체, 고객 모두가 상호 이익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국내 소셜커머스 시장 분석 보고]  분석보고서 작성 : 다원데이
  1. 현재 기준 소셜쇼핑 업체 수 : 111개
  2. 판매하는 상품 비중 : 맛집(38%) > 뷰티/생활(22%) > 전시/공연(12%) > 온라인 배송 실물 상품(11%) > 카페/술집(9%) > 레저/여행(6%) > 기타(2%) 순
  3.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시간 : 상품이 새로 등록되는 밤 12시와 일과가 시작되는 오전 9시 경
  4. 판매 상품 수 기준 시장 성장률 : 매월 250%
  5. 매출 기준 시장 성장률 : 매월 200% 이상
  6. 지난 8개월(3월~10월)간의 시장 규모 : 228억 이상, 과거 판매 데이터를 비공개로 한 업체 매출은 제외


'다이어리 >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원리 2급 시험  (0) 2010.12.13
패스원 스타 선정  (0) 2010.11.08
방문자 1만명 달성  (0) 2010.08.13
새로운 곳, 새로운 자리  (2) 2010.07.22
[여행] 제주도 홀로여행 1  (2) 2010.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