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HRD 38

AI 활용한 OD프로그램 과정개발 공유회

2014년 우리파트에서 실시한 팀단위 조직개발 프로그램이 그룹의 HRD Best Practice로 선정되고2015년에는 AI기법을 활용하여 OD 후속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말 그대로 계획만)저희 회사가 소속된 그룹에서는 ‘시너지’를 무척 강조하는데 인재원에서는 매년 계열사간 HRD 시너지를 강조합니다. 올해는 인재원에서 주도적으로 계열사간 연계프로젝트로 ‘시너지과제’를 선정했는데 저희 회사에서 계획했던 'AI기법을 활용한 OD프로그램 개발’ 프로젝트를 다른 두개 계열사와 함께 진행하는 과제를 주었습니다.당시 파트장님이 AI 전문가셔서 큰 부담없이 정통 AI를 하사받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프로젝트 진행 중 이직을 하시는 바람에 갑자기 PM이 되어버렸네요. 4월 3일에 프로젝트 Kickoff 후..

학습/HRD 2015.10.11

[강연리뷰] 2015 SHRM, ATD 디브리핑

이번주는 정말 많은 학습을 했다. ‘물반 고기반처럼 일반 학습반’의 한 주였다. 이번 주의 마지막날 오후에는 그룹인재원에서 주최하는 HR Forum에 참가했다. 오늘의 주제는 2015년 SHRM과 ATD 디브리핑이었다. ATD는 이미 디브리핑에 다녀왔지만, SHRM 디브리핑은 한번도 참가한 적이 없어 기대가 컸다. SHRM 디브리핑은 고려대학교의 김광현교수님께서 진행해주셨는데, 딜리버리가 무척 좋으셔서 편하게 들을 수 있었다. ATD는 대학원 선배님인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이진구 교수님께서 진행해주셨다. 올해는 SHRM, ATD 공통적으로 구성원의 Engagement가 화두였다. 김광현교수님이 제시한 2015년 SHRM의 키워드 4가지 중 3가지인 창의성, 다양성, 몰입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

학습/HRD 2015.08.29

[강연리뷰] 이화여대 미래인사포럼

메가HRD에서 주관하는 ‘이화여대 미래인사포럼’에 참가했다. 무료행사여서인지 꽤 많은 HR인들이 참가하였다. 업무 때문에 좀 늦었더니 원탁테이블의 앞쪽에 앉게 되어 불편하게 강연을 들었다. 이번 주제는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HR전략’이었는데 결론적으로 주제에는 크게 부합하지 못했던 포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세션은 ‘MOOC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업 학습시스템 혁신 전략’에 대해 이대 교육공학과의 조일현 교수님께서 강의해주셨다. MOOC에 대해 좀더 심층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고, 디지털의 발달로인해 컨텐츠가 넘쳐나는 상황에서 컨텐츠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평소 HRDer로서 생각하던 부분과 일맥상통한 얘기를 해주..

학습/HRD 2015.08.25

[HRD]신입사원 액션러닝 교육 프로그램

2015년 상반기 그룹공채 교육이 한창 진행중이다. 인재원 주관 그룹교육을 마치고 우리 회사에서 자체 진행하는 교육을 진행중이다. 지난 주에는 우리회사의 사업부별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이 진행되었다. (학습자 주도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발표하고 현업전문가가 피드백하는 방식으로 운영중인데, 자세한 내용은 지난 기수에 올린 글 : [HRD]신입사원교육사례_자기주도학습 방법 적용 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번 주부터는 그룹 주관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아이디어 경진대회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준비가 시작되었다. 그룹의 전 계열사가 1개월 이상 준비과정을 거쳐 그룹 경영진 앞에서 발표한 후 수상자를 선정하다보니 경쟁이 무척 치열하다. HRD 담당자로서 경쟁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프로그..

학습/HRD 2015.08.04

HRD_SCM Quick Model_현업적용도 평가

HRD의 주요 업무영역 중 난이도가 높고 수행하기가 어려운 업무를 꼽으라고하면 아마도 대부분의 HRDer들이 ‘평가’를 꼽을 것이다. 정확한 평가는 교육프로그램의 기획단계부터 평가기획이 병행되어야하며 교육 실시 중에도 지속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교육 종료 후 일정기간 동안 추적 조사를 통해 정보를 추가한 후에 데이터를 가공, 분석하는 노력을 해야만 비로소 완성된다. 현실적으로 HRDer가 담당하는 과정 수가 적지 않고, 다람쥐 쳇바퀴 돌듯 과정을 운영해야하는데 위의 프로세스를 제대로 수행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특히 몇 년전 유행처럼 번졌던 ROI의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해서 평가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결과를 신뢰하기가 어렵다. 경영성과라는 것이 워낙 다양한 변수에..

학습/HRD 2015.06.05

2015년 ATD 디브리핑 참석_ASTD

지난 주 금요일 KMA에서 주관하는 2015년 ATD, ISPI 디브리핑 세션에 다녀왔습니다. HRD의 큰 흐름을 볼 수 있는 세계적인 행사인 ATD와 ISPI의 주요내용을 요약해서 들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몇 년간 이래저래 다녀오지 못하다가 오랜만에 참석했네요. 교육담당자들이 거의 유일하게 참가할 수 있는 해외컨퍼런스이다보니 평생 HRDer로 살면서 한 번정도 다녀올 수 있는 행사입니다. 그래도 다행히 한국에는 이 행사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아서인지, 친절하게도 따로 디브리핑 세션을 해줍니다. 이번에는 함께 일하는 파트장님께서 KMA와 함께 ATD를 다녀오신 덕분에 공짜로 디브리핑 세션에 참석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행사들을 참가할 때마다 놀라는 거지만, 정말 많은 분들이 참석하셔서 적극적으..

학습/HRD 2015.06.01

외부특강참가_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

오랜만에 외부에서 진행되는 특강에 참가했습니다. HRDer이기에 그 누구보다 더 많은 강연에 참가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에 참가한 특강은 쉽지 않은 현실에 변화를 주고자하는 개인적인 노력을 위해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작은 동네서점에서 실시되는 저자강연회 형식이었는데, 그들의 책을 읽어본적도 없고, 그들이 누구인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순전히 주제만 보고 신청했습니다. 요즘 돈을 많이 벌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하고 있는데, 마침 경제와 관련된 주제라 신청했습니다. but 실제 주제는 단순히 돈에 대한 내용이 아니었습니다. 저자가 트레이더이면서 블로그나 트위터에 관련 글들을 올리다보니 자연스레 경제 쪽으로 포커스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 한명의 저자는 기자 출신으로 경제분야에 ..

학습/HRD 2015.05.20

[HRD] HRD학습의 흔적들

이번에 이사를 하면서 짐정리를 했습니다. 워낙 추억을 중요하게 생각하다보니, 그 동안 나에게 의미가 있는 것들을 끌어안고 살아왔는데, 많이 정리해서 버렸네요. 책을 정리하다보니 참 많은 HRD관련 컨퍼런스에 참석했네요. 장시간 학습하는 외부교육에 참가하는 것도 HRD 역량개발에 도움이 되지만, 어느 정도 HRD 기본기를 갖추었다면 컨퍼런스에 참석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최고의 규모를 자랑하는 인적자원개발 컨퍼런스의 규모가 점점 축소되고 있는 것 같아 아쉽지만, HRD직무에 관심이 있거나 HRD업무를 하는 사람이라면 꼭 참가하길 추천합니다. 미국에서 매년 실시되는 HRD 컨퍼런스인 ASTD(2015년부터 ATD로 명칭 변경)의 경우 참가비가 600만원 정도나 드는데, 인적자원개발 컨퍼런스는..

학습/HRD 2015.03.23

HRD 의 가치

HRD의 가치는 무엇일까? 조직원들이 제대로 일을 할 수 있도록 그들의 스킬과 역량개발을 지원하는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다. HRD를 시작한 초기엔 완전학습을 꿈꾸곤한다. 그래서 교육프로그램의 잘 된 점보다는 안 된점에 주목한다. 교육학에서는 80% 이상의 학습자가 80% 이상의 지식을 이해하는 것을 완전학습이라고 한다. 10여년간 HRD 업무를 하면서 완전학습에 대해 개인적으로 개념정의를 내리게 되었다. 단 1명의 학습자라도 해당 프로그램 수강을 통해 인생이나 업무의 터닝포인트를 만나거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스킬이나 툴에 대해 익히고, 실제 업무에 적용을 한다면 그것이 곧 완전학습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조직에 들어와서 조직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하고 싶었다. 조금은 급..

학습/HRD 2014.11.12

[교육참가후기] 버크만 베이직 진단자격 과정

지난 8월 8일(금)~9일(토) 2일간 제이엠커리어에서 주관하는 버크만 베이직 진단자격과정에 참가했다. 올해 우리 회사는 Team OD(Organization Development) 프로그램을 버크만 진단을 활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상반기에 약 20개팀에 적용해본 결과가 좋아서 하반기에는 확대 운영 할 계획이다. 리더십교육 담당을 맡게되어 본 프로그램 운영 및 FT 활동을 위해 버크만 진단의 기초과정인 베이직 진단자격과정에 참가하게 되었다. 약 20명의 참가자가 2일간 열정적으로 교육에 참가했다. HRD에 종사하는 사람은 약 4명 정도였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이 참가하여 새로운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이었다. 버크만 진단은 로저 버크만이 1940년대 공군 조종사로 근무하면서 스트레스 상황에 ..

학습/HRD 2014.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