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관리 25

[강의리뷰] 목표시간관리 : 목적이 이끄는 삶

2015년 마지막 강의는 ‘목표시간관리’라는 주제였습니다. 사람들이면 누구나 연말, 연초가 되면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불타 오르잖아요. 그래서 12월에 이런 분들을 타겟으로 준비한 과정입니다. 역시나 많은 분들이 신청해주셨고 그 중 19명(20명 정원)이 참석하셨습니다. 연초에 기획하여 일정을 잡았던 과정이었지만, 12월에도 여전히 바쁜 일정으로인해 취소를 할까?를 마지막까지 고민했었으나, 의미가 큰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에 강행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힘든 일정 때문이었는지 교육시작 몇 일전부터 몸살에 걸렸고 강의 당일에도 몸과 목의 상태가 안좋아 힘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달려드는 참가자들 덕에 잘 마무리 할 수 있었고, 오히려 몸이 좋아졌어요. 목표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

[목표관리] 2016년 나의 목표!

2016년이 시작되었습니다. 첫 날 올해의 목표를 완성했네요. 보통 전년 마지막 주에 정리하는 편인데, 2015년 리뷰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시도하다보니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둘째 딸이 적절한 시기에 태어나줘서 오늘은 조리원 근처 카페에서 올해의 목표를 정리해볼 수 있었습니다. 올해부터는 일과 관련된 목표를 좀 더 상세하게 포함하였습니다. 보통 전략수립을 하고나면 잘 안보게 되기 때문에, 개인목표에 넣어놓고 자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2016년은 좀 더 배우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자 합니다. 이제 몇 년 후면 40대에 접어든다는 생각 때문에 미리 준비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또한 학습하고 적용한 지식과 경험들을 좀 더 많이 글로 표현해보고자 합니다. 목표수립을 시작한지 6년째가 되니 포맷은 ..

[2015년리뷰] 2015년 10대 뉴스!

한해를 마무리하며 마지막으로 정리하는 것이 그 해의 10대 뉴스를 작성해보는 것입니다. 마지막에 정리하는 이유는 한해의 목표를 리뷰하고 읽은 책들을 정리해 보면서 자연스레 그 해를 돌아보게 되어 10대뉴스를 뽑기가 수월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꼭 10가지로 정리할 필요는 없지만 10가지를 찾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든 쥐어짜게되어 좀 더 깊숙히 한해를 성찰해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2012년부터 10대 뉴스를 정리했었는데 작년에는 한 해를 건너뛰었습니다. [관련글] HappyNewYear. Review 2012 2013! 성장디자이너의 10대 사건! 그리고 올해부터 다시 한 해를 돌아보기 위해 10대 뉴스를 다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올해는 한 마디로 일과 삶 모두에서 안정을 찾은 해라고 정의..

[2015년리뷰] 2015년 가족목표 리뷰!

작년 말 2015년을 앞두고 처음으로 우리 가족의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관련글 : 우리 가족의 2015년 목표수립 워크샵!!) 1년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세웠던 목표를 얼마나 이뤘는지 리뷰를 해봤습니다. 12월 28일에 둘째를 출산하여 정신이 없었지만, 와이프와 잠시 작년에 수립했던 목표를 보면서 얘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아직 결혼한지 4년이 채 안된지라 여전히 의견이 충돌할 때가 있지만 2015년은 확실히 안정을 찾았다는 점에 대해 저희 부부 둘 모두 동의했습니다. 가족목표 수립이 처음이었음에도 10개 중 7가지를 달성했네요. 우리 가족에게 2015년은 무척 감사한 한해였습니다. 2016년에는 둘째까지 포함된 완전체를 이룬만큼 더 충만한 한 해 만들어봐야겠습니다. [관련글] [목표관리] 2015년 ..

[2015년리뷰] 2015년 올해의 책!

2015년은 독서에 특히 신경을 많이 쓴 한해였습니다. 의식적으로 독서를 하려고 노력했고, 읽은 책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려고 노력도 했습니다. 독서리스트를 정리한지는 3년쯤 되었으나, 올해 본격적인 관리를 하면서 다양한 분석이 될 수 있도록 구분항목을 추가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올해는 56권(12월 29일 기준)을 읽어 목표였던 50권을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상반기 페이스가 좋아 내심 100권을 노려보았는데 턱없이 부족한 결과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내년에는 100권을 목표로 달려볼 생각입니다. 올해 읽은 책을 주제별로 분류해보니 인문학, 심리학, 스마트워크(업무스킬, 일하는 방식 관련), HR, 리더십등의 순서네요. 아무래도 하는 일이 HRD이다보니 자연스러운 결과인 것 같습니다. 올해는 의식적으로 인..

학습/책 2015.12.29

[목표관리] 2015년 목표리뷰! 한 해를 돌아보며!

2015년을 마무리하며 올해의 목표를 리뷰해보았습니다. 매년 목표를 수립하고 리뷰하는 것이 올해로 5년 째가 되었습니다. 해를 거듭할 수록 목표도 많아지고, 달성하는 것들도 많아지는 것 같네요. 올해부터는 그 해에 집중해야하는 목표를 ‘중점목표’, 인생에서 항상 노력해야하는 부분은 ‘항시목표’로 구분하여 목표수립을 하였습니다.(관련글 : [목표관리]GD의 2015년 목표수립하기!!) 매년 마지막 주에 따로 시간을 내어 한 해를 리뷰하는 ‘나만의 시간’을 만드는데, 올해는 12월 28일에 둘째가 태어나면서 그 전까지 시간을 낼 수가 없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틈틈이 2015년 목표를 보면서 머리속으로 리뷰를 해오다가 오늘 여유가 조금 생겨 병원 앞 카페에서 한 해를 리뷰해보았습니다. 올해는 새로운 조직에 ..

[목표관리] 2015년 상반기 리뷰

2015년 상반기가 마무리됐다. 올해 세웠던 목표를 바탕으로 간단히 리뷰를 해봤다. 목표수립 시에 100% 완료하겠다는 마음을 먹지 않고, 비교적 편하게 목표를 대하는 편이다. 목표에 매몰되지 않으려는 마음 때문이지만, 최대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마음도 중요한 것 같아 작년부터 상반기를 마칠즈음 리뷰를 실시한다. 지난 6개월간 많은 일들을 해낸 것 같아 뿌듯하고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놓친 부분들에 대해 좀더 집중해보려고 한다. [관련글] 1. [목표관리]GD의 2015년 목표수립하기!! 2. 우리 가족의 2015년 목표수립 워크샵!!

[시간관리]다이어리 업무 활용사례_2014년 윈키아 플래너 활용기

2014년 한 해는 윈키아 플래너를 열심히 활용하였습니다. 제 경우에는 시간관리를 top-down과 bottom-up 방식을 mix하여 하고 있습니다. 시간관리 측면에서 본다면 올해의 목표를 기준으로 월관리 - 주관리 - 일관리 간 비교를 통해 놓치지 않고, 지금 이 순간 몰입해야 할 일들을 우선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스케줄의 경우 구글캘린더에 통합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다이어리에 스케줄 적는 것에 대해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단, 일관리를 위해서 당일 일정(스케줄)을 알아야 가능한 업무가용시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을 다이어리에 먼저 작성한 후 주중에 처리해야할 일을 확인하면서 당일 업무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10여년간 목표, 시간관리를 해오면서 수립한 모델로 Flow 시..

[목표관리]GD의 2015년 다이어리!!

2013년부터 다시 종이 다이어리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노트를 좋아했던터라 다양한 다이어리를 써오다가, 2002년 군생활 시절에 후배가 쓰는 프랭클린플래너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었죠. 그 후 약 6년간 프랭클린플래너를 쓰다가 2년 정도 3P바인더를 썼습니다. 3P바인더에 큰 만족을 하며 쓰던 중 2009년 4월경 아이팟터치란 대단한 디바이스를 접하게 됩니다. 1,2개월 개인생산성을 높여주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해보니 종이다이어리가 더이상 필요없어지더군요. 그 후 아이폰 3GS를 구입하고 아이패드까지 넘어오면서 종이 다이어리와는 영영 이별하는 줄 알았습니다.2012년 말 페이스북에서 윈키아플래너라는 새로운 형태의 다이어리를 보고 호기심에 구매를 한게 인연이되서 3년째 구매를 하고 있네요. 첫..

[목표관리]GD의 2015년 목표수립하기!!

올해로 5년 째 한해의 목표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해를 거듭할 수록 한 해를 돌아보고 새로운 한 해의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체험하고 있습니다. 연초에 새로운 한 해의 목표를 수립하면 자연스레 집중해야할 것들이 보이고, 무의식과 의식이 그 쪽으로 이동하도록 이끄는 것 같습니다. 목표를 수립하는 방식도 매해 변하고 있는데, 작년부터 평생 목표로 삼고 지켜야할 것들을 '항시목표'로 정하고, 올해 집중해야할 영역을 '중점목표'라는 이름으로 구분하여 수립하고 있습니다. 삶에서 맡고 있는 역할이나 개인의 관심사가 다양하므로 카테고리별로 묶어주면 기억하기가 쉽고, 새롭게 목표를 수립할 때 좀 더 수월합니다. 몇 번 목표를 수립하다보면 카테고리별로 자연스럽게 목표를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죠. 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