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리/다이어리

넌 학생이고 난 선생이야!!!

Peter.B 2012. 5. 23. 16:07




"넌 학생이고 난 선생이야"

'동갑내기 과외하기'에서 김하늘의 대사입니다.

제가 학교에 다니던 시기만해도 학생과 선생 사이의 간극이 무척이나 컸습니다.

학부에서 교육학을 전공할 때 사회교육학개론이라는 수업을 들었습니다.

그 때만해도 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이나 용어정의가 한참 이뤄지고 있던 시기여서 '사회교육학'이라는 용어를 썼었죠.

1998년에 그 수업을 들었으니, 불과 15년 전만해도 평생교육의 개념이 전무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은 평생학습의 시대입니다.

어린시절 아버지께서는 '중고등학교 6년 고생이 평생 너를 편하게 살게 해준다' 라고 말씀하시곤 했습니다.

그러나 세상이 변했습니다.

성인이 된 지금도 꾸준히 학습을 해야만 합니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학생 때 학습한 정보는 새로운 정보와 이론들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시절 선생님은 무척이다 거대한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성인이 된 지금, 저는 선생과 학생 사이를 매일 매일 왔다 갔다 합니다.

이제는 누구나 선생이고 학생인 시대입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TED와 같은 본인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는 지식공유 모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참여와 공유는 인간의 본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평생 해보고 싶은 버킷리스트 중에 한 가지는 저의 지식과 경험을 책으로 쓰는 것입니다.

주변의 많은 분들도 저와 같이 자신의 책을 쓰고 싶다고 합니다.

이는 인간의 본능인 참여와 공유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직 제가 대단한 책을 쓸만큼의 내공을 갖고 있지 못하지만

무언가 세상에 내가 갖고 있는 것을 기부(재능기부) 하고 싶다는 생각에 시작한 것이 있습니다.

작년 5월부터 교회에서 지원자를 받아 색소폰앙상블을 만들어 매주 주일마다 레슨을 하고 있습니다.

10년간 취미로 색소폰을 불었지만, 누군가를 가르치기에는 제 실력이 부족한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레슨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토요일 오전에는 학생이 되어 색소폰 레슨을 받고, 그것을 바탕으로 주일 오후에는 선생이 됩니다.

학생과 선생의 사이가 무척 좁아졌습니다.

그리고 뜻하지 않게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토요일에 학생으로 배우는 것보다, 주일마다 선생이 되어 레슨을 직접하면서 배우는 것이 훨씬 크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기업에서 HRD업무(교육)를 8년 가까이 담당하다보니

사람들은 한번 들어보거나, 본 내용에 대해서 본인이 안다는 착각에 빠지는 함정에 빠진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안다는 것은 내 머리속에 있는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여 이해시킬 수 있는 수준을 말합니다.

그런 점에서 강의, 강연은 최고의 학습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2010년 11월부터 '디지털스마트워크' 라는 교육과정을 개발해 웅진그룹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해오고 있습니다.

2009년에 아이팟터치를 쓰면서 평소에 활용하던 프랭클린플래너를 버리고, 아이팟터치로 일정관리를 해볼 수 없을까? 고민하면서

하나씩 익힌 스마트워크 Tool들을 구조화하여 만든 과정입니다.

과정개발을 하면서 느낀점은, 내가 그 동안 앱의 기능이나 스마트워크 분야별 개념에 대해서 얕은 지식만 알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과정을 개발하고 강의하면서, 스마트워크 분야에 대한 정리가 확실하게 되었고

이제는 그 내용들을 정리하여 책으로 써보려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평생교육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선생(강사)과 학생 사이의 간극이 무척 좁아졌습니다. 아니 무너졌습니다.

좀 더 효과적인 학습법에 대해서 고민하고 계시다면

여러분이 알고 있는 지식, 스킬, 태도의 그 어떤 것이라도

지금 바로 다른 이들과 나눠보십시오.


참여와 공유의 시대

선생과 학생의 차이는 없어졌습니다.


저는 토요일이면 지하연습실에서 1:1 레슨을 받는 학생이 됩니다.



주일 오후에는 3명의 제자들에게 색소폰 레슨을 담당하는 강사가 됩니다. 저희 제자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찍지 못해 제자 중 한분과 함께 연습한 영상을 올리겠습니다. 1년 전만해도 색소폰을 조립도 못했던 분인데, 이제는 제법 멋진 소리를 냅니다.


새소망색소폰앙상블 유트브 영상보기




'다이어리 >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를 먹는 두 가지 방법  (2) 2012.07.23
글의 힘이 점점 커져가는 세상  (0) 2012.07.17
인생사 새옹지마  (0) 2012.04.07
블로깅 2.0  (0) 2011.07.30
다음 클라우드 100GB 당첨되다.  (0) 2011.06.30